티스토리 뷰

해외 여행시마다 항상 사소하게 고민되는 것이 있습니다. 공항은 곧 면세 쇼핑의 기회인데, 제 경우는 다른 것보다 각 국가별로 대체 면세 가능한 술, 담배의 한도가 가장 궁금합니다.  솔직히말해, 공항에서 세관 통과시에 여행자 모두를 전수 검사하는 것도 아니거, 걸리지만 않으면 된다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, 전 혹시나 걸리면 어쩌나 싶기도하거, 그 경우에 면세 한도을 초과한 물품들 뺏기면 마음이 아플 것 같아서 말입니다. 실제로 이번에 쿠알라룸푸르 공항에서 제 짐이 세관 검사를 받기도 했습니다.

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행기 타면 항상 있는 잡지의 DUTY FREE ALLOWANCE 자료를 참고로, 각 국가별로 면세로 반입을 허용하는 술, 담배의 양을 딱 말씀드립니다.​


일단, 제가 말레이시아에 있으니 말레이시아부터 말씀드리면, 술은 1리터, 담배는 200개비/1보루까지 면세로 반입 가능합니다. 그리고 이제부터 아래에 다른 국가들의 면세 허용량 술, 담배의 양을 간단히 적어봅니다. 국가별 면세 허용 향수 자료도 있는데, 그거까지 쓰기에는 귀찮기도 하고, 안타깝지만 제 관심사가 아니랍니다. 이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호주: 2.25리터 / 25개비(실화입니다)

브루나이: 2리터(2병) 및 맥주(330미리) 12캔 / 비허용

캄보디아: 2리터(와인) / 400개비

중국: 1500미리리터(12도 이상) / 400개비

홍콩: 제한없음(30도 이하), 1리터(30도 초과) / 19개비 (이것도 실화입니다)

일본: 2.25리터(3병) / 400개비

한국: 1리터(1병, 400달러 이하) / 200개비

인도: 2리터(2병) / 100개비

인도네시아: 1리터 / 200개비

라오스: 2병(와인) 또는 1병(기타 주류) / 500개비

마카오: 1리터(30도 초과) / 19개비(홍콩과 같아요)

미얀마: 2리터 / 400개비

네팔: 와인 또는 위스키 1.15리터 또는 맥주 12캔 / 200개비

필리핀: 2리터(2병) / 400개비

사우디아라비아: 비허용 / 600개비

싱가포르: 3리터 / 비허용

스리랑카: 2병(와인) 및 1.5리터(기타주류) / 비허용

몰디브: 비허용 / 200개비

대만: 1리터(1병) / 200개비

태국: 1리터 / 200개비

베트남: 2리터(22도 이하) 또는 1.5리터(22도 초과) / 200개비

미국: 1쿼트(21세 이상) / 200개비

국가별로 술 1병(1리터)와 담배 한보루(200개비) 정도는 일반적으로 허용됩니다. 다만, 싱가포르 같이 면세 담배 반입을 허용하지 않거나 허용하더라도 한갑 정도 밖에 되지 않는 호주, 홍콩, 마카오 등등도 있으니 여행 전에 잘 확인하시고, 괜히 남의 나라 공항에서 얼굴 붉히는 일은 없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 물론 공항에서는 보통 다들 얌전하시더군요. 저는 일본 공항에서 한번 싸운적이 있는데, 그때 왜 그랬나 싶습니다. 무식하면 용감하다고, 이제서야 자괴감이 드는군요.


댓글